카테고리 없음

췌장, 체장염

DIVALOVE 2025. 7. 5. 09:57
728x90



1. 급성 췌장염에 대한 영양 관리 🧪

✅ 早期 경구/장관 영양(Early enteral/oral nutrition)

예전에는 ‘췌장 휴식(공복)’이 필수였으나 최근 연구 및 가이드라인에서는 빠르게 음식을 시작하는 것이 사망률, 장기 부전, 감염 위험을 줄이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  .

American Gastroenterological Association (2018) 기준:

증상 시작 24시간 이내 경구 식사 재개 권장.

불가능할 경우**비경구 장관 영양(비위(비위) 또는 비공장)**이 정맥 영양(parenteral)보다 우선  .



✅ 식사 구성

**저지방, 부드러운 음식(low-fat soft oral diet)**이 초기 식사로 적합
(ESPEN 가이드라인: Grade A)  .

고단백, 저단순당, 충분한 수분(수분 섭취) 필요  .



---

2. 만성 췌장염에 대한 식이 지침

✅ 저지방 식이 (1일 30–50g 이하)

대부분의 가이드라인(MyHealth Alberta, Stanford, Kaiser, Hamilton Health 등)은 지방을 30–50g 또는 50g 이하로 제한하라고 권장  .


✅ 소량‧고빈도 식사

하루 4–6회, 적은 양 여러 번 섭취 권장  .


✅ 단백질은 살코기·저지방 유제품·생선 중심

껍질 뺀 닭고기, 흰살 생선, 저지방 유제품, 콩류 등을 추천  .


✅ 섬유질의 적절한 섭취

과일·채소·통곡물은 염증 감소 및 담석 예방 효과 있으며 섬유질은 체내 환경 개선에 기여  .


✅ 중쇄지방산(MCT) 활용

소화가 쉬운 중쇄지방산은 흡수에 부담이 덜하고, 일부 가이드라인에서 영양 보충 수단으로 허용  .


✅ 효소 보충(Pancreatic enzyme replacement therapy)

지방·단백질 소화를 돕는 췌장 효소 보충이 지방 변, 영양흡수 저하를 개선한다는 증거 있음  .



---

3. 피해야 할 음식 & 생활습관

🚫 고지방·튀긴 음식

버터, 마가린, 튀김, 가공육, 고지방 유제품, 패스트푸드, 디저트 등은 췌장 부담 증가, 증상 악화 위험  .


🚫 알코올 및 흡연

급·만성 췌장염 모두에서 완전 금주, 흡연 중단 필수  .


🚫 단순 당·고설탕 음식

고당분 제품과 정제 탄수화물은 인슐린 분비를 과도하게 자극하고, 고중성지방, 담석, 당뇨 위험 증가  .



---

4. 식사 외 생활습관

체중 조절 및 규칙적 운동으로 비만·담석 위험 감소  .

수분 섭취를 통해 탈수 방지하고 췌장 스트레스 감소  .

영양 결핍 정기 검사 (지용성 비타민 A, D, E, K 등) 필요  .

항산화제, 글루타민, 오메가‑3 보충 요법은 일부 연구에서 사망률 감소나 감염 위험 감소 효과가 관찰됨. 단, 실험군은 주로 비경구/튜브 영양 환자였으며, 일반 경구 환자에는 아직 권고 강도 약함  .



---

📌 요약 표

병태 권장 식사 피해야 할 음식 추가 권장

급성 조기 경구/장관, 저지방/고단백·부드러운 음식 고지방·튀김 충분한 수분, 비경구 가능 시 튜브 영양
만성 저지방(30–50g), 소량·고빈도 식사, 살코기·콩 알
공동 금주·금연, 중섬유질·과일·채소, MCT, 효소 보충, 비타민 검사



---

✅ 결론

이 모든 권고사항은 ESPEN, AGA, ASPEN, Columbia University, Kaiser 등 국제적·임상적으로 권위 있는 의료기관 및 학술 논문을 기반으로 하며, 췌장에 가해지는 자극을 최소화하면서도 영양불량을 방지하고 회복을 돕는 방향입니다.
개인의 상태에 따라 맞춤형으로 적용해야 하므로, 반드시 의료진 및 영양사와 상의하고 결정하셔요.

728x90
반응형